디지털 변전소 테스트베드에 PONOVO 4-Q 전력 증폭기 적용 사례(ISPU)
1. 디지털 변전소 테스트베드 구축의 타당성
에너지 산업 디지털화의 과제 해결: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 솔루션 검증
- 자격을 갖춘 인력 교육
과학 및 교육 문제:
- 디지털 변전소 장비의 실제 활용 조건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테스트베드가 부족함 (특히 디지털 변압기에 대한 장비 연결)
- 관련 주제에 대한 교육 센터 및 자료 부족
2. 4-Q 증폭기를 사용한 주요 연구 분야
- 디지털 계기용 변압기를 사용하는 기존 변전소와 디지털 변전소의 제어를 받는 전력 시설 과정
- 오류 위치 및 감지 기능, 단상 지락 감지 기능을 갖춘 상업용 자동화 계량 지점 개발
- 비접지 계통의 Ferroresonant 과정
- 비접지 계통, 계전기 보호, 자동화 개선 기능을 갖춘 네트워크 단상 지락
3. 디지털 변전소 테스트베드(Digital Substation Testbed)
고전압 시험부 서버룸 교육실
4. 사이버-물리적 테스트베드 3단계(Cyber-physical Testbed)
Proccess Level - RTDS 시뮬레이터, PONOVO 전압/전류 증폭기+DCT, DVT(Digital Current/Voltage Transformer)
Bay Level - RTDS, 증폭기 제어 > 산업용 스위치 > DCT, DVT
Station Level - 계전기 보호 및 자동화, 위상 측정 장치, 디지털 변전소 유지 보수 장치
5. Ferroresonant 과정
비접지 계통 단상 지락의 Ferroresonant 과정을 특징화할 수 있다
Voltage Transformer
Ferroresonant 결과
6. 디지털 변전소 테스트베드(Digital Substation Testbed)
RTDS simulator PONOVO 전압/전류 증폭기 PONOVO 4-Q 증폭기 DUT(Transformer : IOG 230/60)
7. Ferroresonant 과정
Ferroresonant 과정은 복잡한 수학적 이론으로 설명되며, 물리적 장비를 사용하여 복잡한 과정을 실험으로 시뮬레이션하는것이 연구 목표
Petersen Theory
Petersen, Slepian Theory
Belyakov Theory
실험 연구 다이어그램
- 직접 개발한 변압기(ISPU)를 통해 최대 10kV의 전압에서 연구 수행
- 최대 35kV의 전압, 비접지 계통의 모든 전압 레벨을 커버할 수 있는 변압기로 업그레이드 계획
PONOVO PAV5000, Capacitor
- 4-Q 증폭기(PAV5000)를 사용하여 Ferroresonant 과정 저항에 대한 전압 변압기 조사 시험 회로
- 시험 중 변압기와 4-Q 증폭기는 정격 전력 범위 내에서 부하로 사용
- 전력 증폭기의 정격 전력(단상 5kVA) 단위 역률 달성
- 시험 회로에 무효분이 나타나면 증폭기 최대 출력이 다소 감소함
> 캐패시턴스가 큰 모드를 시뮬레이션하는 경우 현재 시험 장비의 성능 부족으로 판단
8. 비접지 계통에서 전압 변압기의 기능(Hardware-In-the-Loop simulation)
전압 변압기를 시험하고 고전압 측 정격 전압에서 무부하 버스를 스위칭하는 동안 Ferroresonant 가능성 평가
a) 변압기 연결(phase by phase) b) 변압기 분리(phase by phase)
전압 변압기를 시험하고 Ferroresonant 가능성 평가
a) 고전압 측 정격 전압에서 위상 반전 b) 고전압 측 정격 전압에서 간헐적 아크 단상 지락
9. 오류 위치 및 감지 기능, 단상 지락 감지 기능을 갖춘 상업용 자동화 계량 지점 개발
시험은 10kV의 전압에서 수행되었고 실제 시설에 설치함
송전선 전압 모니터링 송전선을 통한 유효 전력
송전선 전류 모니터링 송전선을 통한 유효 전력
송전선을 통한 전력의 20개 이상 매개 변수 제어
10. 디지털 계기 변압기(Digital Instrument Transformer) - 디지털 변전소의 핵심 요소
6~10kV 상업용 계량 자동화 지점
11. 디지털 변전소의 3가지 시스템 구성
RSCAD의 디지털 시뮬레이션